imch.devabout

모노레포로 리액트 프로젝트 만들기

회사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규모가 커질 것을 고려해서 몇 번 폴더 구조를 (나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등, 최선을 다했지만 단순하게 폴더를 정리하는 선을 넘고 있어서(ㅠㅠ) 모노레포(Monorepo)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리액트 프로젝트에 모노레포를 도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시작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

새로운 폴더에서 새롭게 시작 해 봅시다.

$ mkdir react-monorepo
$ cd react-monorepo
$ yarn init -y

생성된 package.json 파일을 열어서 수정합니다.

{
  "name": "react-monorepo",
  "version": "1.0.0",
  "main": "index.js",
  "license": "MIT",
  "private": true,
  "workspaces": ["packages/*"]
}

Lerna 설정

모노레포 구성에 필요한 Lerna 를 설치합니다. Yarn Workspace 설정 뒤에는 -W 플래그를 주지 않으면 프로젝트 루트 레벨에 패키지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 yarn add -DW lerna

Lerna 설정 파일을 생성합니다.

$ lerna init

생성된 lerna.json 파일을 열어서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useWorkspace는 Yarn Workspace 를 사용하겠다는 옵션이고, npmClient는 어떤 것을 패키지 관리 클라이언트로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옵션입니다.

{
  "packages": ["packages/*"],
  "version": "1.0.0",
  "useWorkspaces": true,
  "npmClient": "yarn"
}

여기까지 마치고 나면 기본적으로 모노레포 패키지를 추가 할 준비가 끝났습니다.

패키지 추가

리액트 앱 추가

Create React App을 사용하여 리액트 앱 패키지를 추가 해 보겠습니다.

$ yarn create react-app packages/app --typescript

그러면 packages 폴더 내에 app 으로 생성됩니다. 생성된 폴더 내의 package.json 파일을 열어 name 을 변경합니다. 이 리액트 앱을 lerna 나 yarn workspace 에서 식별하기 위한 이름으로 @foo/app 을 사용하겠습니다.

{
  name: '@foo/app',
  version: '0.1.0',
  private: true,
  dependencies: {
    '@types/jest': '24.0.23',
    '@types/node': '12.12.7',
    '@types/react': '16.9.11',
    '@types/react-dom': '16.9.4',
    // ...
  },
}

생성된 패키지를 실행 해 보겠습니다. @foo/app의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yarn workspace 사용

$ yarn workspace @foo/app start

lerna 사용

$ lerna run start --scope=@foo/app

단일 명령을 사용하고 확인 할 때는 yarn workspace가 나은 것 같고, 필터를 사용해서 여러 패키지에 대한 작업을 수행 할 때는 lerna가 좋은 것 같습니다.

패키지 명령을 통해 리액트 앱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러리 패키지 추가

방금 만든 앱에 별도의 패키지를 설치하여 그 패키지의 컴포넌트를 사용 해 보겠습니다. packages 폴더 안에 shared 폴더를 생성합니다.

$ mkdir -p packages/shared
$ cd packages/shared

프로젝트 생성할 때 처럼 yarn init 을 진행하고 이름을 적당하게 변경합니다. 타입스크립트를 설치합니다.

$ yarn init -y
$ yarn add -D typescript

이후 tsc —init 를 통해 타입스크립트 설정 파일을 생성하고, jsx 옵션과 declaration 옵션을 활성화 합니다. 그리고 outDir를 설정하여 빌드 파일이 생성될 위치를 지정합니다. 아래 내용은 주석된 내용을 제거한 현재 상태입니다.

{
  "compilerOptions": {
    "jsx": "react",
    "target": "es5",
    "module": "commonjs",
    "declaration": true,
    "declarationMap": true,
    "outDir": "./build",
    "strict": true,
    "esModuleInterop": true
  }
}

package.json 파일을 열어서 main, types, files 를 수정하고 scripts에 build 를 추가하였습니다.

{
  "name": "@foo/shared",
  "version": "1.0.0",
  "main": "build/index.js",
  "types": "build/index.d.ts",
  "files": ["build"],
  "license": "MIT",
  "devDependencies": {
    "typescript": "^3.7.2"
  },
  "scripts": {
    "build": "tsc"
  }
}

src 폴더를 만들고 Foo.tsx 파일을 생성하여 간단한 컴포넌트를 작성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const Foo: React.FC = () => <div>Foo!</div>;

export default Foo;

index.ts 파일을 추가하여 export 하는 내용을 작성합니다.

export { default as Foo } from './Foo';

app 패키지에 shared 패키지 설치

이제 @foo/app 에 패키지를 추가해 봅시다. 로컬 패키지끼리 의존 관계를 추가할 때는 lerna 를 사용합니다.

$ lerna add @foo/shared --scope=@foo/app

그 다음 @foo/app 내에서 추가된 @foo/shared 패키지의 Foo 컴포넌트를 가져오도록 한 다음 실행하면 오류가 납니다. 빌드를 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실행시켜야 하는건 자바스크립트 파일인데 @foo/shared 에서 제공하는건 타입스크립트 파일만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foo/shared 패키지를 빌드합니다.

$ yarn workspace @foo/shared build

그러면 정상적으로 @foo/shared 패키지에서 만든 컴포넌트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전히 오류가 발생한다면 import { ... } from '@foo/shared/src' 처럼 경로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 상태에서 @foo/shared 패키지 내의 컴포넌트를 변경해도 @foo/app 에서 변경 사항이 반영되지 않습니다. 아까 언급한대로 변경한 타입스크립트 파일이 자바스크립트로 변경 되어야 합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tsc -w 를 실행하면 됩니다.

@foo/shared 패키지 scripts에 start를 추가합니다.

{
  "name": "@foo/shared",
  "version": "1.0.0",
  "main": "build/index.js",
  "types": "build/index.d.ts",
  "files": ["build"],
  "license": "MIT",
  "devDependencies": {
    "typescript": "^3.7.2"
  },
  "scripts": {
    "build": "tsc",
    "start": "tsc -w"
  }
}

이제 @foo/shared 와 @foo/app 패키지의 start 명령을 동시에 실행합니다. 아래와 같이 별도의 —scope 플래그 같은 필터를 추가하지 않으면 모든 패키지를 대상으로 start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 lerna run start --parallel

@foo/shared 패키지의 변경 사항이 바로 반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리액트 프로젝트를 모노레포로 구성 해 보았습니다. 느낀점은 확실히 패키지 단위로 분리하면 나중에 유지 보수하는 관점에서 편리할 것 같고, 모든 단위 테스트를 실행 해 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예상됩니다.

단점은 모노레포를 구성하는 것 자체가 생각보다 간단하지는 않고, 실제로는 Babel 부터 Webpack 까지 수동으로 해야 하지만 어느정도 CRA의 도움을 받았다는 점이 있습니다. 또한 회사에서 도입 시 모노레포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곤란한 상황이 오게 됩니다.

단점 때문에 도입을 할지 말지 고민하는 것은, 리덕스를 두고 ‘코드가 너무 늘어날 것 같다’고 고민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감내하더라도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면 도입을 고려하는게 맞고, 규모가 크지 않을 것 같고, 프로젝트 내부에서 폴더 구분만으로 충분하다면 그냥 안해도 상관 없는 기술인 것 같습니다.

이 글을 쓰면서 rush 와 많이 고민했는데 아직 rush를 제대로 활용하기엔 부족한 것 같습니다. 다만 rush는 pnpm 이 추구하는 도플갱어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한 부분은 최고라고 생각됩니다. 추후에 lerna가 pnpm을 지원할 것처럼 보이는데, 그때 lerna를 통해 다시 다뤄보거나 rush를 사용해서 모노레포를 해보고 싶습니다.

References

  • https://dev.to/stereobooster/typescript-monorepo-for-react-project-3cpa
이찬희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이찬희 입니다. 리액트와 타입스크립트를 주로 사용합니다. 현재 당근에서 재직중입니다.

© 2023 iamchan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