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매일 아침 8시 30분쯤 출근한다. 일찍 출근해서 커피 한 잔을 즐긴 다음, 본격적으로 업무를 시작하기 전 30분 내의 시간을 사용하여, 마치 하나의 ‘검색엔진 크롤러’처럼 온갖 개발 관련 블로그나 메일링을 훑으며 정보를 수집한다.

이 ‘검색엔진 크롤러’는 아주 치명적인 취약점이 하나 있는데, 관심이 있는 주제를 찾게 되면 한동안 그 주제에 대한 정보 위주로 찾는 취약점이 있다. 도메인 주도 설계를 그렇게 접하게 되었다.

처음 이 책을 읽기 전에 가볍게 목차를 훑어보니 개발과 관련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 책을 읽고 난 뒤에는 설계와 관련된 개발 스킬을 자유자재까지는 아니더라도 설계를 할 때 도메인을 고려하는 내 모습을 상상하기도 했다. 도메인 주도 설계에 대해서 이름 외에는 아는게 없던 나는, 이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단어가 무엇인지 느낌을 파악하기 위해 가볍게 1차 속독을 했다.

속독을 끝마치고 난 뒤, 큰 충격에 빠졌다. 이 책은 개발 스킬을 전수하는 비법서가 아니었다. 비법서가 아니라서 충격에 빠진 것이 아니다. 왜 이제서야 DDD에 대한 지식, 책을 읽었는지 후회의 충격이었다. 본래 목적은 DDD를 이해하고 프론트엔드 아키텍처에 녹여낼 수 있는지 알기 위해서였다. (짧게 이 부분에 대한 생각을 남기자면, 프론트엔드에서는 DDD를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많지 않은 것 같다.)

이 책은 DDD에 대한 입문서가 아니다. 읽고 나서 바로 할 수 있도록 지도하지는 않지만, 나처럼 급격하게 관심이 생긴 사람들에게 앞으로 어떤 것을 알아야 하는지에 대한 메타인지를 심어준다. 도메인 주도 설계 구현이나 도메인 주도 설계와 같은 책을 읽기 전에 좋은 디딤돌이 될 것 같다.

책에서는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제품을 예시로 들어서 DDD를 설명하고 있다. 바로 DDD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지 않고, 우리가 흔하게 저지를 수 있는 문제를 재현하기도 하고, 각종 사례를 통해 왜 DDD가 중요한지 설명하고 있다. 언젠가 내가 설계와 관련된 문제에 직면했을 때 했던 몇가지 고민들이 책 안에 사례로 나와서 공감하며 읽었다. 비록 프론트엔드를 주력으로 삼기에 그 수는 많지 않았지만 대부분 나쁜 사례로 소개되었다.

개발적인 측면에서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어떤 부분은 애자일과 크게 관련된 내용도 있다. 나는 DDD가 애자일 조직에서 좋은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기 위한 방법론이라고 생각된다. 설계는 애자일 팀원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고, 공동의 이해를 추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좋은 소프트웨어, 나아가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에 관심이 있다면 개발자 외의 직군도 읽기 좋은 것 같다. 다른 DDD 서적은 읽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 책은 그렇다.